학과소개

정책학과

공공정책전공

교과목개요
강좌명(국문) 강좌명(영문) 내용 학점
공공갈등과 협력 Public Dispute and Cooperation 공공갈등관리와 협상의 전반적인 분야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특히 갈등관리분야에 있어서는 공공갈등의 의의, 특성, 기능과 형태, 갈등모형, 갈등관리전략, 사례 등을 알아보며, 협상분야에 있어서는 협상의 의의, 변수와 특성, 공공협상전략, 협상과정, 협상능력배양, 사례 등을탐구한다. 2
공공관리론 Public Management 공공관리론은 종합적, 실용적, 응용 지향적 학문으로서 실무에 대한 기초가 되는 다양한 공공관리이론을 학습한다. 2
공공리더십연구 Public Leadership Studies 현대사회의 특징 중 하나가 공공영역의 확대다. 다수의 시민들은 주도적인 행위자로서 더많은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이해관계는 복잡해졌고 이에 따른 갈등은 많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기업의 리더와 다른성격을 갖은 공공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과목은 공공의 관점에서 리더십에 관한 주요이론 및 실제를 학습한다. 리더십의 이론적 틀과 조직성과, 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고 효과적인 리더십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성공적인 리더십행사를 위한 요건을 학습하고, 성공적인 리더십발휘를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 사례와 토론을 통해 확인한다.
2
공공정책연구 Public Policy Research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정책을 행위자, 목표, 정책과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2
국가전략론 National Strategy Theory 국가전략의 개념 및 중요성을 파악하고, 남북한과 주변 4강의 국가전략을 분석하며, 통일한국의 국가전략을 모색한다. 2
국제관계와 세계정치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Global Politics 국제정치의 본질을 이해하며. 국력의 평가요인을 분석, 이해하며, 패권국의 등장과 쇠퇴요인 분석과 21세기 국제정치의 새로운 위협요소와 행위자를 분석한다. 2
국제기구와다자안보론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Multilateral Security 국제기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고하며, 대표적인 국제기구인 UN의 역할과 한계 및 전망 그리고 유럽다자안보체제(OSCE)의 성립배경과 유용성 그리고 기능과 교훈을 연구한다. 2
국제정치론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정치의 흐름과 변화 양상을 이해하며, 전쟁과 국제 질서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며, 새로운 국제질서의 태동에 대하여 연구한다. 2
국제테러리즘과국가안보 International Terrorism and National Security 국제 테러리즘의 발생원인과 양상 그리고 국가안보 및 국제평화와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2
기획론 Administration Planning 현대를 전략의 시대라 하지만 우리의 공조직은 전략적이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관료제의 시대적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래보다는 과거지향적이고, 성과보다는 투입지향의 행정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기획론은 1960년대 이후 발전행정의 전통을 바탕으로 논의되어온 거시적인 발전기획 이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해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본수업은 구체적으로 현대정부의 기획의 기능을 이해하고 기획방법과 기획절차에 있어서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실무실습 하는데 목표를 둔다. 2
도시정책세미나 Urban Policy Seminar 정책학 및 도시정책이론들을 학습하고 국내외 도시 및 지방정부의 정책에 대해 기존의 정책사례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도시 및 지방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들을 탐구한다. 2
도시행정론 Urban Administration 도시 및 도시화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도시문제를 인식, 공감하여, 무엇을 위한 어떤 도시로의 방향을 도시행정론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2
민군관계론 Civil-Military Relationship 정치사회와 군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만군관계의 제 이론을 학습하며, 남북한과 주변 4강의 민군관계분석하고 아울러 (통일)한국의 바람직한 민군관계를 모색한다. 2
분단국 통일과정론과 한반도 통일 Reunification of Divided Nations and Korean Reunification 분단국의 통일과정(독일, 베트남, 예멘)에 대한 연구와 남북한 통합에 주는 적실성 및 시사점 연구. 2
인사행정론 Personnel Management 인사행정의 전반적인 이론과 이슈이해, 인사행정 제도의 내용파악 및 장기적인 인력계획 수립, 실제 인사행정의 사례를 분석한다. 2
인적관리론 Human Management   2
재무행정론 Financial Administration   2
전쟁,스포츠,국제정치 War, Sport and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정치와 전쟁과 스포츠의 상관성 분석, 정치적 상징기제(미란다와 크레덴다)로써 스포츠의 역할분석, 정치권력으로써 국제 및 국내스포츠 기구 분석, 동서독 및 남북한 스포츠 교류사 연구 2
전쟁과평화론 War and Peace 인류 역사와 전쟁의 역사개괄, 전쟁의 제 이론과 20세기 전쟁의 특징 분석, 21세기 전쟁의 새로운 양상분석, 인류평화를 위한 동서양의 철학적, 사상적 배경 연구. 2
정부간관계론 Inter-Governmental Relations 바람직한 지방자치의 정립을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 각급 지방정부 간의 올바른 정부 간 관계설정이 필요하다. 이를위해 첫째, 정부간 관계의 개념 및 이론을 고찰하고 둘째, 선진 각국의 정부간 관계형성 상태를 비교분석하며 셋째, 국가 간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부간 관계를 살펴보고 넷째, 우리나라 정부간 관계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2
정부예산론 Government Budgeting 정부예산의 규범과 기능, 정부예산의 세입 및 세출구조와 현황, 정부예산의 과정과 실태, 정부예산의 이론과 제도 2
정책분석론 Public Policy Analysis   2
정책평가론 Public Policy Evaluation Cases   2
정책학연구 Study on Public Policy 정책학의 개념, 접근방법 및 각종 모형 등 기본적인 이론연구, 정책에 대한 이해와 적응능력 제고 2
정치경제학과 경제사조 Economic Discourses and Poiltical Economics 정치경제학의 주요 개념이해, 경제학의 주요사조와 저작의 분석, 한국 자본주의 분석 2
지방자치 현장과 실무 Local Government Field & Practice 지방자치이론 소개, 자치입법권, 자치조직권, 자치재정권의 실태와 과제 2
지방재정실무 The Work of Local Public Finance   2
지방행정사례세미나 Seminar on Local-Administration Cases 지방자치의 행정 및 의정에 대한 지식을 탐색하고 지방정부의 정책과정에서 벌어지는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한 이론분석 및 대안들을 탐구하고자 하며 지방자치의 의미,지방행정의 분야별 정책이슈,거버넌스, 시민참여, 지방의회 및 지방행정의 발전방향을 찾는데 교육목표를 둔다. 2
지역개발론 Regional Development Theory 지역발전에 대한 이론적인 탐구를 통해서 실제 실현되고 있는 지역발전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을 사례연구하여, 이론과 정책을 상호 접목시키는 학문적 맥락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협상 및 갈등관리 Negotiation & Conflict Management 공공갈등관리와 협상의 전반적인 분야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특히 갈등관리분야에 있어서는 공공갈등의 의의, 특성, 기능과 형태, 갈등모형, 갈등관리전략, 사례등을 알아보며, 협상분야에 있어서는 협상의 의의, 변수와 특성, 공공협상전략, 협상과정, 협상능력배양, 사례등을 탐구한다.
2
지방재정세미나 Seminar of Local Finance 지방재정의 의의와 기능, 지방세입 및 세출구조와 현황,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현황파악. 2
한국 사회의 주요 쟁점과 과제 Current Events and Tasks of Korean Society 한국사회의 주요 쟁점 도출과 해결방안 모색하며, 선진국의 문제해결 사례를 분석한다. 2
Quick Menu
증명서발급 종합정보시스템 공지사항 자료실 장소사용신청 오시는 길 TOP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용약관

닫기

사이트맵

대학원 소개
학과소개
입학
학사/장학
커뮤니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