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 아주대학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 학사)
-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평화안보학과 졸업(정치학 석사)
-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졸업(국제개발협력학 박사)
경력사항
- 현) 발전대안 피다 공동대표
- 현) 국제개발협력학회 이사(시민사회연구분과 위원장)
- 현)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부운영위원장
- 현) 국무총리 산하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실무위원회 민간위원
- 현) 지구촌나눔운동 감사
주요사회경력
- 'A Study on Korean Protestant Faith-Based Development NGO:With Special Reference to Attribute and Typology' 경희대 국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국제개발협력과 개발도상국의 시민사회 : 공여국의 베트남 시민사회 지원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2017)
- 공여국의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CSO)지원 담론과 현황: OECD DAC 회원국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17)
- 개발원조에서의 정부-NGO파트너십 제도변화 연구: 네덜란드 '공동재원조서(Co-financing)프로그램'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14)
- 한국 개신교개발FBO의 특성과 유형화에 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14)
- 국제개발협력에서정부-시민사회협력관계연구 : OECD DAC 회원국의 NGO지원정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011)
- 개도국 현지CSO 역량 강화 및 우호적 환경조성 기여를 위한 KOICA LCPP 이행 전략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KOICA (2015)
- 개발협력CSO활동가를 위한 평가 안내서. 지구촌나눔운동 (2015)
- ODA정책에서의 시민사회단체 역할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1)
- 개발효과성제고를 위한 정부-시민사회 협력방안 연구. KOICA(2011) 외 다수
- KOICA 아카데미파트너십사업(APP)으로 2015년부터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몽골에서 NGO, 기업의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사업 수행
연구관심분야
-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 신앙기반단체(FBO)와 국제개발협력
- 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
- 국제개발협력 역사
- 국제개발협력 사업 성과관리 및 평가
- 정부 국제개발협력 정책 기획 및 평가
강의분야
-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 국제개발협력 개론
-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기획·형성·성과관리 및 평가
주요논문
- 한국국제개발협력과 개발도상국의 시민사회 : 공여국의 베트남 시민사회 지원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제15권 제1호(2017) 329-368
- 개발원조에서의 정부-NGO파트너십 제도변화 연구 : 네덜란드 ‘공동재원조성(Co-financing)프로그램’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8집 1호. 2014년 3월 31일 pp221-239.
- 공여국의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CSO)지원 담론과 현황: OECD DAC 회원국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1(1), 2017.4, 3-38
- 한국 개신교개발FBO의 특성과 유형화에 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7권 제4호. 2014년 1월 31일 pp. 311~346
- 국제개발협력에서정부-시민사회협력관계연구 : OECD DAC 회원국의 NGO지원정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011년 제 17권 4호. pp.105~136.
저서.역서
- 2017. 국제교육개발협력 : 이론과 쟁점 중 14장 개발NGO: 기회와 도전과제. 교육과학사
- 2015. 한 잔의 커피, 한 잔의 평화 동티모르 사회적기업 피스커피 이야기. 공저.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 2009. 자원활동은 자원봉사가 아니다 중 4장 단기 국제자원활동 사전교육연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학회활동
-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 이사 (개발협력과 시민사회연구분과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