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목원대학교 2007-2013 공공정책학(사회복지) 박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1999-2002 사회복지(노인복지) 석사
연세대학교 1986-1990 사회복지 학사
경력사항
1991-2013 22 년 9 월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부장(재가복지, 치매, 취업알선 등)
2013-2018 4 년6 월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노인학대예방 및 노인인권)
주요사회경력
2016 ~ 2018 국민건강보험공단, 중앙치매센터, 치매전문교육강사 및 재가 치매노인학대예방과 인권 및 시설치매노인학대예방과 인권 원고 집필 및 치매강의.
2015 ~ 2018 서울시 광역치매지원센터 위원.
2008 ~ 2013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위원회.
2010 ~ 2019년 현재 한국노인복지실천연구회 이사.
2010 ~ 2011 강남구청 주관 강남구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
2011 ~ 2014.노원구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이의신청심의위원회 위원.
2013 ~ 2021 현재 노원구 어르신돌봄지원센터 운영위원회 위원.
2014 ~ 2016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보호위원회 학대대책분과위원회 위원.
2014 ~ 2021 현재 마포구 창전데이케어센터, 미포노인종합복지관 운영위원회 위원.
연구관심분야
노인관련 모두
강의분야
노인복지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치매노인과 가족, 사회문제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노인케어개론, 노인사례관리론 외 다수
주요논문
《수퍼비전 기능이 노인복지실천가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연구》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013.
배숙경 외, 2012,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2권4호.
이은진·배숙경·엄태영, 2010,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권2호.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의 이용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성공회대학교, 2002.
한창완?배숙경 외. 2002. “재가고령자의 일상생활동작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18 pp.233~246.
저서.역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공저, 2017, 노인복지론(공저), 양서원.
권중돈?배숙경 외, 2012,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학지사.
공동저자(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지음), 2008, 사회문제론, 양서원.
보건복지가족부 지원 《노인 보건복지 서비스 매뉴얼》 공동집필, 2008.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공동집필, 2008.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표준경영모델》,2005, 서울복지재단.
이윤로 외 공저, 2000, 《치매노인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인지행동?과제중심 모델의 노인사례관리 적용》,2008,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이용노인의 욕구조사》2008,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조손가정조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증 감소 및 손자녀들의 사회성향상 프로그램》2007,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의미를 찾아 떠나는 과거로의 여행》《치매노인프로그램의실제2》《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지원 프로그램》, 2004,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자원봉사자관리》2003,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활성화 사업보고서》2000,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이윤로 외 공저 2000,《치매노인과 사회복지실천》학지사.
《치매노인프로그램의 실제》1997,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고령자취업욕구조사서》1995,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치매노인의 이해와 간호》1991,전 북부노인종합복지관,현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치매노인 가족과 함께》1990, 전 북부노인종합복지관,현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가정봉사원의 간호와 기술》1990,전 북부노인종합복지관,현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학회활동
2010 ~ 2019 현재 한국노인복지실천연구회 이사.
기타
지역사회 노인인권현황과 과제: 실천현장에서의 노인학대예방과 권익증진, 2017년 5월26일, 한국노년학회.
가정내 학대가 전체 노인학대의 88%, 복지이슈 Today, 통권56호, 2017,11, 서울시복지재단.
한중아시아 아동노인복지동향, 2017년 7월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폭력, 그 절망에서 희망을 외치다(공저), 2017년, 국립중앙의료원.
한국노인의 인권현황, 2016년 6월15일, 한국노년학회, 국가인권위원회.
노인 학대의 현황과 대책, 제23회 고령사회포럼, 노인 학대의 현황과 대책, 2016년 6월15일, (사)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노인학대현황과 의료인의 역할, 2016년 9월 대한요양병원협회.
인권수준향상을 위한 새로운 시그널 전략과 비전: 노인관점에서. 한국노인복지시설중앙회. 2016년
권익사각지대: 노인의 안전, 부제: 방임과 자기방임의 사례연구, 2014 추계학술대회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한국노년학회 공동주최.
노인학대의 현황, 2014, 3월26일, 노인학대, 어떻게 볼 것인가 심포지엄, 의료정책연구소.
경북행복재단 주제발표에 대한 노인학대토론, 2015, 4월29일, 한국노년학회.
늘어나는 노인학대, 복지이슈 Today, 통권24호, 2015,3, 서울시복지재단.
SBS TV 뉴스토리, 2015, 우리나라 노인학대 현황 인터뷰, 5월 8일 방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