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 미국 밴더빌트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대학원 정치학과 박사
[학위논문]
- ”Praxis in Temporality:The Heideggerian Interpretation of Praxis.” Ph. D Dissertation,VanderbiltUniversity,1998
경력사항
- (사)한국정치평론학회 회장 (2021. 01-현재)
- 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연구소 소장 (2019.05-현재)
- (사)시민운동정보센터 이사 (2018.01-현재)
- 캐나다 브리티시콜럼비아대학교(UBC) 방문교수 (2016.08-2017.07)
- 경희대학교 교무처장 (2014.02-2016.01)
- 특임장관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위원 (2012.03-2012.12)
- 대통령직속 녹생성장위원회 위원 (2011.10-2013.02)
- 대통령실 정책자문위원 (2011.10-2013.02)
- 행정안전부 공익사업선정위원회 위원 (2011.07-2013.06)
- (사)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위원장 (2011.07-2013.06)
- 경희대 공공대학원 원장 (2011.03-2014.02)
- 미국 버클리대학교(UC Berkeley) 방문교수 (2009.09-2010.08)
-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겸임교수 (2008.03-2009.02)
- 경희대 NGO대학원 원장 (2007.01-2009.07)
- KBS 객원해설위원 (2006.01-2008.12)
- (사)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2005.01-2005.12)
연구관심분야
- 정치철학
- 현대정치사상
- 한국정치사상
- 시민사회론
- 국가론
강의분야
- 정치사상
- 시민사회이론
주요논문
?- 「공화주의적 통치성:르네상스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오토피아』 35/2 (2020)
- 「역사화해를 위한 조건:독일-폴란드 역사화해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56 (2019)
- 「16세기 위그노전쟁과 정치적 정의로서의 화해」, 『정치와 평론』 23 (2018).
- 「한국의 정치적 전통과 이념: 가산제와 신념윤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6/3 (2017).
-「동아시아 공동체의 역사와 미래: 중화주의와 아시아주의를 넘어서」 『정치와 평론』 18(2016).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와 ‘민주’의 관계 : 슈미트의 논의와 그 비판을 중심으로」『평화연구』 21/2 (2013).
-「민주주의의 이중성 : 르포르의 포스트모던 민주주의」『동양정치사상』 12/2 (2013).
-「그리스 비극에 나타난 민주주의 정신: ‘아테네’의 메타포를 중심으로」『한국정치연구』 22/2 (2013).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협상의 정치리더십」『정치와 평론』 12 (2013).
-「횡단성의 정치: 소통정치의 조건」(공저)『한국정치연구』 21/3 (2012).
-「미국건국에 있어서 공공성과 공동성」『한국시민윤리학회보』 24/1 (2011).
-「지구시민의 윤리: 큉과 레비나스의 논의를 중심으로」『한국정치연구』 20/1 (2011).
-「지구시민의 정체성과 횡단성」『21세기정치학회보』 20/3 (2010).
-「정치평론에서의 lexis와 logos」『정치와 평론』 7 (2010).
-「르네상스기 이태리 도시국가의 정부」『한국정치연구』 19/2 (2010).
-「소통정치와 미디어」『아세아연구』 52/4 (2009).
-「지구화시대 시민과 시민권: 무페의 논의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 42/2 (2008).
-「세계시민사회와 지구적 윤리」(공저) 『한국정치연구』 17/1 (2008).
-「한국사회에서의 법과 정치」『오늘의 동양사상』 17 (2007).
-「민주화 이후 공화민주주의의 재발견」『동양정치사상사』 6/2 (2007).
-「개화와 공화민주주의」『정신문화연구』 30/1 (2007).
-「한나 아렌트와 한국정치: 권력정치에서 소통정치로」『철학과 현실』 71 (2006).
-「공존과 배려: 타자와의 관계에 관한 동서양 정치사상 비교」『정치사상연구』 12/1 (2006).
-「독립신문과 공론장」『정신문화연구』 29/1 (2006).
-「한국의 정부와 시민사회: 거버넌스를 중심으로」『NGO연구』 3/1 (2005).
-「대의제 민주주의의 위기: 마넹의 논의를 중심으로」『시민사회와 NGO』 3/1 (2005).
-「감성의 정치: 에로스, 에로티즘 그리고 섹슈얼리티」『한국정치학회보』 39/1 (2005).
- “The Principles of Chui-Saengsong and Humancentrism” Oughtopia 19/3 (2004).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 여성의 정체성과 차이」『아시아여성연구』 43/2 (2004).
-「정치와 정쟁: 근대적 정치관을 넘어서」『철학과 현실』 61 (2004).-「디지털시대의 토의민주주의」『철학연구』 64집 별책 (2004).
-「탈현대사회 대안공동체」『한국정치학회보』 38/1 (2004).
- “Who Is the Master of Human Civilization?” Oughtopia 18/1 (2003).
-「하이데거의 니힐리즘 비판과 근원적 윤리학」『정치사상연구』 8 (2003).
-「자연과의 미메시스적 화해: 아도르노의 신화와 계몽의 변증법」『철학과 현상학 연구』 19 (2002).
-「함석헌과 정치평론」『한국정치학회보』 35/4 (2002).
-「하버마스에 있어서 두 권력 『정치사상연구』 5 (2001).
-「사회과학에 있어서 과학적 설명」『한국과 국제정치』, 제17권 제1호 (2001).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 현대 정치사회의 이중성」『정치사상연구』 3 (2000).
-「하이데거 시간개념의 정치적 함의」『철학과 현상학 연구』, 14 (2000).
-「하이데거의 프락시스 해석: 프락시스의 시간성을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 33/1 (1999).
저서.역서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 니체에서 현재까지』(공저), 아카넷, (2020)
?-『역사화해의 이정표 1 : 이론적 기초를 찾아서』(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새로운 모색』(공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 (공저), 인간사랑 (2017).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전망』 (편저), 인간사랑 (2017).
-『시민학과 시민교육』 (편저), 인간사랑 (2017).
-『지구촌과 세계시민: 세계시민되기』 (편저), 인간사랑(2017).
- Political Phenomenology: In Memory of Petee Jung (Co-author). Springer (2016).
-『정부의 재발견: 공공성과 공동성 사이에서』 (편저), 인간사랑 (2015).
-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in Search of a Post-Eurocentric Approach (Co-author), Lexington Books (2014)
-『현대 한국 정치사상』 (공저), 아산서원 (2014).
-『시민사회 파트너십과 공공성』 (편저), 인간사랑 (2014).
-『공화와 민주의 나라:대한민국 정체성을 찾아서』 (편저), 인간사랑 (2013).
-『시민은 누구인가』 (편저), 인간사랑 (2013).
-『21세기 글로벌사회 공공성』 (편저), 인간사랑 (2013).
-『행복과 21세기 공동체』 (편저), 아카넷 (2013).
-『미디어와 공론정치: 정치평론이란 무엇인가?』 (공저), 인간사랑 (2011).
-『서양 고대?중세 정치사상사』 (공저), 책세상 (2011).
-『민주주의 강의 4: 현대적 흐름』 (공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0).
-『현대정치사상과 한국적 수용』 (공저), 법문사 (2009).
-『지구시민권과 지구거버넌스』 (공저), 오름 (2009).
-『미래와의 소통: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 한국시민사회의 길을 묻다』 (편저), 이매진 (2008).
-『탈20세기 대화록: 이념 이후의 시대를 말한다』 (편저), 아카넷 (2006).
-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in Asia and the Arab World (Co-author), The Korea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06).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공역) (Hwa Yol Jung 지음), 아카넷 (2005).-『키루스의 교육』(번역) (Xenophon 지음), 한길사 (2005).
-『가치와 한국정치』 (공저), 소화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