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행정학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박사
- Department of Social and Policy Sciences, University of Bath, UK.Ph.D. in Social Policy
경력사항
2000. 06 ~ 2001. 02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문연구원
2001. 03 ~ 2001. 08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연구조교수
2001. 09 ~ 현재 경희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3. 02 ~ 2005. 02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교학부장
2009. 03 ~ 2013. 02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학과장
2002. 01 ~ 현재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a member of the Editorial Advisory Board.
2006. 01 ~ 2006. 12 한국정책학회 연구이사
2010. 01 ~ 2018. 04 국가보훈처 자체평가위원회, 복지분과 소위원장
2011. 01 ~ 2011. 12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기획위원장
2013. 07 ~ 2014. 06 한국사회정책학회 부회장
2017. 09 ~ 2018. 08 한국행정이론학회 회장
2012. 03 ~ 현재. 기획재정부 보조사업평가단, 평가위원
2012. 06 ~ 현재. 보건복지부 규제심사위원회 위원
2017. 03 ~ 현재. 기획재정부 기금사업평가단, 평가위원
2019. 03 ~ 현재. 서울특별시 예산정책위원회 위원
2019. 03 ~ 현재. 보건복지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회 위원
연구관심분야
- 복지행정
강의분야
- 사회복지행정
- 사회보장제도
주요논문
- D.-M Shin (2000) “Economic policy and social policy: policy linkages in an era of globalis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9(1) pp.17-30.- D.-M. Shin and I. Gough (2000), "Book review of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Welfare Orientalism and the Stat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6(3), pp.174-175.
- D.-M. Shin (2000) "Financial Crisis and social security: The paradox of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53(3), pp.83-107.
- D.-M. Shin (2000) "Policy linkages between economic and social security policies during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sation" 연세사회과학연구소,「연세사회과학연구」, 제 6권, pp.169-194.
- D.-M. Shin (2000) "The Recent Development of Welfare System in Korea: Transition to a Welfare State from a Welfare Society?",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16(2), pp.187-210.
- 신동면 (2001) “김대중 정부의 사회정책개혁: 근로연계복지를 향하여“,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35(1). pp.53-68.
- 신동면 (2001) “한국의 복지혼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45권. pp.220-249.
- 신동면 (2001) “김영삼 정부의 사회보장제도 개혁: 세계화와 사회복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사회복지연구」, 제 8권. pp.79-103.
- D.-M. Shin (2001) "Book Review of Welfar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Progress in Development Studies, 1(2) pp.275-277.
- 신동면 (2001) “영국사회보장제도의 개혁: 사회부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46권 pp.178-209.
- 신동면 (2002) “영국 노동당 정부의 사회보장제도개혁: 복지급여에서 근로로,” 한국정책연구원, 「한국정책논집」제 2권, pp.61-73.
- 신동면ㆍ강정석 (2003) “시간제공무원제도에 관한 연구: 도입의 의의와 제도설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논총」, 41(1), pp.1-23.
- 신동면ㆍ양기근 (2003) "고령화사회의 노인고용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3(3), pp.111-128.
- 신동면 (2003) “자활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명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논총」, 20집 pp.192-212.
- 신동면 (2004) “영국의 기업연금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연구원, 「임금연구」, 11(4), pp.86-101.
- 신동면 (2004) “영국의 근로연계복지에 관한 평가: 신노동당의 New Deal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6(1), pp.23-43.
- 신동면ㆍ이영신 (2004) “금융산업 비정규직의 기업복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경희행정논총」, 17(1), pp.89-103.
- 신동면ㆍ한상연ㆍ김종호ㆍ이호창ㆍ김민용 (2004) “지역복지 정보네트워크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13(1), pp.21-38.
- 신동면 (2005) “지역사회복지의 공급주체에 관한 이론적 논의,”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경희행정논총」, 18(1), pp.83-98.
- 신동면 (2005) “Changing Definition of the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행정문제연구」 12(1), pp.119-144.
- 신동면 (2005) “아일랜드 발전모델: 사회협약과 경쟁적 조합주의,”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39(1), pp.299-323.
- 신동면 (2005) “세계화 시대의 사회정책 변화”,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정부학연구」11(1), pp.40-73.
- 신동면 (2006) “한국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40(1), pp.115-138.
- 신동면 (2006)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소득 양극화 실태와 사회보장의 과제,” 「사회이론」 2006 봄/여름호, pp.34-60.
- 신동면 (2007) “스웨덴 사회 협의체제의 변화),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스칸디나비아 연구』 8권, pp.75-100.
- 신동면 (2007)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적 사회정책을 위한 구상”, 「사회이론」, 31권, 2007년 봄/여름호, pp.137-166.
- 신동면 (2007) “지속가능한 발전적 사회정책을 향하여” 중국사회과학원 『當代韓國』, 55권, pp.20-26.
- 신동면 (2009) “경제위기 이후 이명박 정부 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대안”, 「한국정책학회보」 18(3), pp.269-294.
- 신동면 (2009) “근로 저소득층을 위한 자산형성지원제도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pp.209-226.
- 김용태ㆍ신동면 (2009) “지방의료원의 운영형태별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19(4). pp.233-256.
- 김용태ㆍ신동면 (2010) “지방의료원의 성과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Tier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 기관선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1). pp.61-86.
- 신동면 (2010) “사회복지의 공공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17(1). pp.241-265.
- 김용태ㆍ신동면 (2010) “의료기관에서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한 연구-치과의원을 중심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 2권 제 3호, 73-103.
- 신동면 (2011) “경제침체기의 일본형 복지체제 변화에 관한 연구: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의 적용”, 「한국사회정책」 18(2). pp.175-208.
- 김용태ㆍ신동면(2012) "치과 의료기관 유형별 조직유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영향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 신동면ㆍ최영준 (2012) “복지국가 트릴레마 양상의 변화”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
- 신동면ㆍ김도한, (2012) “성과관리형 자활사업에서 포괄적 성과지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신동면ㆍ허남덕 (2013) “한국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성격과 발전 방향”, 한국정책학회보, 제 22권 제 4호,
- 김지영ㆍ신동면 (2014) “기업체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22권 4호.
- 신동면 (2014) “선거제도가 공공사회복지지출과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48권 4호
- D.-M. Shin, (2014) Towards Dynamic Social Security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Vol.67. No. 3-4.
- D. Kim & D.-M. Shin, (2014) Identifying and Explaining Different Poverty Trajectories Using a Group-based Trajectoy Analysis - A case study of South Korea.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Vol.48. No.7.
- 신동면 (2015) “싱가폴 사회보장제도: 국민적립기금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22권
- 김병민ㆍ신동면 (2015)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사회복지예산 변화 영향요인에관한 유형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41권 1호
- 현미나ㆍ신동면 (2017)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 한국사회정책학, 24권 1호
- 박영호ㆍ신동면 (2017) “예비입양부모의 입양 태도 및 동기와 입양사례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학, 24권 3호
- 사울레ㆍ신동면 (2018) “몽골 공공임대주택의 제도적 특성과 발전 방안 - 울란바타르시를 중심으로-” 몽골학 52호.
저서.역서
- 신동면 (2001) “영국의 지방행정제도개혁: 의무경쟁입찰제도에서 Best Value로의 변화” 「지방정부론」, 서울: 대영문화사.
- D.-M. Shin and Y. Jeong (2002) "Social Protection of South Korea" in Social Protection in Southeast & East Asia, Friedrich Ebert Stiftung. pp.269-312.
- Dong-Myeon Shin (2003)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in Korea, London: RoutledgeCurzo.
- 신동면 (2005) 「국가와 산업구조조정」,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 신동면 (2005) "Amartya Sen의 사회적 배제론," 『행정학의 주요이론』 서울: 법문사. pp.603-612.
- 신동면 (2007) “제 1장. 일본복지사회의 위기와 도전”; “제 5장. 일복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변화”, 이면우 편 (2007) 「일본형 복지사회 개혁」, 서울: 세종연구소.
- 신동면 (2007) “제 1장. 사회통합의 위기: 소득양극화의 심화”, “제 2장. 정책환경의 변화와 국가발전전략”, “제 4장.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재설계”, “제 10장. 결론: 지속가능한 발전적 사회정책을
향하여”, 신동면 엮음 (2007)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 서울: 풀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 신동면 (2008)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부조」, 서울: 집문당.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신동면 (2009)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73-112면. 정무권 편,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논쟁 II」, 서울: 인간과 복지.
Dong-Myeon Shin (2010). "The emergence of a new labour market: The changing nature of work and retirement", in Jae-jin Yang and Thomas R. Klassen, Retirement, Work and
Pensions in Aging Korea, London: Routledge. pp. 51-66.
- 신동면 (2010) “근로저소득층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제도 설계,” 149-176면. 김윤태 엮음 「한국복지국가의 전망 : 새로운 도전, 새로운 대안」 서울: 한울.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 신동면 (2011) “제 8장. 복지 없는 성장”, 「박정희의 맨얼굴」유종일 엮음. 서울: 시사인 북.
- 신동면 (2011) “영국의 자산기반 복지정책”, 「영국의 행정과 공공정책」양현모 외 편, 서울: 신조사.
- 신동면 (2011) “사회복지의 공공성 측정에 관한 연구”, 「사회정책과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오름, 163-190.
- 신동면 (2012) “한국 복지체제의 발전과 사회적 갈등 조정 장치로서의 제도적 한계”, 최태욱 엮음,「갈등과 제도」, 서울: 후마니타스. 181-232.
- 신동면 (2013) “어떤 복지국가인가: 복지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최태욱 엮음, 「복지한국 만들기」, 서울: 후마니타스, 53-86.
- 신동면 (2013) “사회복지와 공공성: 스웨덴의 보편적 복지”, 이동수 편, 『21세기 글로벌 사회 공공성- 현장을 가다』, 서울: 인간사랑, 69-98.
- 안병영, 정무권, 신동면, 양재진,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 서울: 다산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