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Texas A&M University, 박사
논문: The Potential of Nested Markets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he Case of Hongdong, South Korea
경력사항
시민사회현장연구자모임, 들파 대표 (2017?현재)
원광대학교 사회적경제센터 연구교수 (2017-현재)
(사)시민 이사, 운영위원 (2018-현재 )
시민사회활성화 전국네트워크 전문위원 (2019-현재)
환경정의연구소 연구위원, 먹거리정의센터 정책위원장 (2016?현재)
서울시 먹거리마스터플랜 TF위원, 먹거리복지분과 위원장 (2016?현재)
Indiana University, 동아시아센터, 초청연구원 (2006?2007)
여성환경연대 졍책위원, 운영위원 (2001?2005)
환경정의 조직국장, 기획실장 (1999?2005)
경실련, 경실련 정농생협 활동가 (1991-1997)
연구관심분야
시민사회론
연구방법론 (질적연구, action research)
음식사회학, 먹거리정의
사회적경제, 대안사회, 노동과 여가
강의분야
논문연구설계, 논문연구방법론, 질적연구방법
시민사회 현장이슈 세미나
사회적경제, 대안사회
주요논문
김소연ㆍ강세진ㆍ박종숙, “주택협동조합의 현장 이슈와 실천 과제” 『한국협동조합연구』, 37(1), (2019): 63-86.
Kim, S. and Jamal, T., “The co-evolution of rural tourism and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in Hongdong, Korea: complexity, conflict and local response”,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3(8-9) (2015): 1363-1385.
김소연, “농생태학적 농촌개발을 위한 네스티드마켓의 생성과 발전: 홍동사례 연구”. 『농촌사회』 25(2) (2015): 7-55.
김소연, “성공한 합의제도? 울산 북구 시민배심원제"의 평가와 함의”, 『시민사화와 NGO』 4(2) (2006): 175?200.
저서.역서
『에코아카데미(EcoAcademy)』 한강유역관리청. (공저)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 교재』 여성부. (공저)
『아토피를 잡아라』 시공사. (공저)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 시공사. (공저)
학회활동
김소연. “서울시 ‘집밥+도농상생’ 공공급식 정책제언: 할머니네 텃밭의 경험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SSK 도시, 먹거리전략을 말하다”,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2016/12 발표.
Tek Dangi, Soyeun Kim & Tazim Jamal. “‘Deconstructing’ Sustainable Tourism and Community-Based Tourism: Towards a Robust Framework of Sustainable Community-Based Tourism”, Nordic Symposium in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14/10 Presentation.
Soyeun Kim. “Dynamics and Nature of Nested Markets in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A Case Study on Hongdong Town, Korea”, Annual Meeting of the Rural Sociological Society, New York City, 2013/8 Presentation.
Soyeun Kim. “Social Justice and Rural livelihood: Is Affordable Organic Food Production for Low-Income Families Sustainable for Small-Scale Farmers?”,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Michigan, 2013/6 Presentation.
Soyeun Kim. “Failure and Prospect of Conflict Resolution in Civic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ivil Society Conference, Sigar Center for Asian Studies &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ashington, D.C., 2007/5 Presentation.
기타
서울시 시민사회 정책 방안: 시민사회 현장의 목소리와 수요를 중심으로, (서울시NPO지원센터ㆍ서울연구원, 책임연구, 2018).
한국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 한국 시민사회 지원법의 제개정 역사와 해외 혁신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국회시민정치포럼, 책임연구, 2018)
서울시 마을부엌 현황 조사와 시범사업 운영 평가 (시정협치, 책임연구, 2018).
마을부엌 구술사례연구-현장과 정책의 연결,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책임연구, 2017).
먹거리정의: 개념과 지형,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먹거리 내러티브, (한국연구재단, 책임연구, 2017-2019).
하월곡동 맞춤형 공공주택 입주자 선정 및 공동체 활성화 방안, (서울시SH주택공사, 책임연구, 2016-2017).
공공성 확보를 위한 주택협동조합 소유구조와 운영 방안,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책임연구, 2016).
지역아동센터 기반 서울시 “집밥”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책임연구, 2016).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효과 분석, (국립공원연구원, 공동연구/거버넌스분야 책임, 2016).
멕시코 산미구엘(San Miguel)과 구아나후아타(Guanajuata) 지역 문화유산보존과 지속가능한 관광개발(2012-2013, 현장조사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