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1988 - 2001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Upenn) 정치학 박사(수료)
1985 - 1987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Upenn) 정치학 석사
1981 - 1985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경력사항
2020. 07 - 현재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민간위원
2020. 03 - 현재 외교부 무상원조관계기관협의회 민간전문가단 위원
2020. 02 - 현재 경희대학교 대외부총장
2020. 01 - 현재 International Academy of Financial Consumers (IAFICO) 이사
2019. 06 - 현재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2019. 05 - 현재 외교부 공적심사위원회 위원
2019. 05 - 현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인도적지원사업위원회 의원
2019. 05 - 현재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19. 04 - 현재 한?·아프리카재단 자문위원
?2019. 03 - 현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회 위원
2012. 12 - 현재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개발협력연구분과위원장, 이사
2012. 09 - 현재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 개발파트너십 소형/중형.대형연구단 연구책임
2011. 09 -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10. 12 -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장
?2019. 08 - 2020. 02 경희대학교 대외협력부총장
2018. 01 - 2018. 12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2016. 02 - 2019. 08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원장
2016. 02 - 2016. 12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2015. 01 - 2016. 12 국제개발협력학회 학회장
2011. 03 - 2012. 02 국제지역학회 이사
2007. 09 - 2010. 10 경희대학교 총장실장
?2006. 09 - 2007. 08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조교수
2006. 09 - 2011. 08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전임강사, 조교수
2001. 04 - 2006. 08 경희대학교 NGO국제연구소 상임연구위원
주요사회경력
2019. 06 - 현재 국회 입법조사처 자문위원
2019. 05 - 현재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19. 04 - 현재 한·아프리카재단 자문위원
2018. 03 - 현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2017. 09 - 현재 한국행정연구원 글로벌네트워크 자문위원
2017. 08 - 현재 UN거버넌스센터(UNPOG) 정책자문위원
2014. 11 - 현재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2014. 01 - 현재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
2012. 03 - 현재 유엔인권정책센터 정책전문위원
2011. 09 - 현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정책홍보위원
2007. 01 - 현재 한국국제협력단(KOICA) 정책자문위원
2017. 12 - 2018. 02 한국국제협력단 혁신위원회 위원
2016. 08 - 2018. 07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민간위원
2016. 01 - 2017. 03 한국국제협력단 비상임이사
2015. 02 - 2017. 03 국회 입법조사처 자문위원
2014. 11 - 2018. 10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2013. 10 - 2018. 01 법무부 이민정책자문위원
2013. 06 - 2014. 05 여성가족부 자문위원
2013. 03 - 2019. 02 서울시 국제교류자문단 운영자문위원
2012. 08 - 2016. 07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실무위원회 민간위원
2012. 07 - 2013. 07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2011. 01 - 2011. 12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HLF-4) 추진단 자문위원
2010. 11 - 2012. 02 한국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포럼(KoFID) 운영위원
2010. 08 - 2012. 03 Open Forum Global Facilitating Group(GFG) 위원
2009. 09 - 2012. 07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통합평가소위 위원
2009. 08 - 2018. 07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2007. 01 - 2010. 01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위원장
2003. 03 - 2006. 12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실행위원
연구관심분야
- 국제개발협력(ODA)
- CSOs
- 국제기구
- 노동정치
강의분야
- 비교정치
- 국제개발협력
주요논문
<국문>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과 아세안(ASEAN) 국가 간 관계 변화 연구,"『국제정치논총』 제 59집 4호, 2019, 이진영·손혁상.
“난민 WASH 분야의 인도적 지원 프레임워크 현장 수용성 연구: 난민캠프와 정착촌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오토피아』제34집 2호, 2019, 홍지영·손혁상.
"스페인 원조분절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수원국과 공영국의 교차분석 결과를 중심으로,"『유럽연구』제 37권 4호, 2019, 정헌주·홍지영·손혁상.
“북한개발협력을 위한 취약국 지원 전략 유용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국제정치논총』제59집 1호, 2019, 손혁상·김선주.
“북한개발협력을 위한 삼각협력모색: 북한의 개발수요와 주축국 선정을 중심으로,”『한국정치연구』제28집 제1호, 2019, 손혁상.
“국제개발협력에서 국제기구-NGO 파트너십 연구: 국제기구 사업 실행 파트너(Implementing Partner) 선정 기준과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국제개발협력연구』제11권 2호, 2019, 손혁상·윤혜정·안지혜.
“국제개발협력의 소득증대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굿네이버스 말라위 옥수수 창고 사업을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논총』제36권 1호, 2018, 손혁상·정희율·김영완.
“한국 ODA 사업의 정책일관성 연구: 영국, 네덜란드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동서연구』제30권 2호, 2018, 김다혜·김태균·손혁상·문경연.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제연구동향 분석: 17개 목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제22권 2호, 2018, 이진영·손혁상·이일청.
“한국의 무상원조 평가 동향 연구: KOICA 사후평가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1988-2016),”『국제지역연구』제22권 1호, 2018, 손혁상·이진영·이일청.
“국제사회의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PCD)' 동향 연구: OECD와 EU의 중점 적용 분야 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전략,”『국가전략』제23권 3호, 2017, 문경연·손혁상.
“개도국 시민사회의 우호적 환경 조성을 위한 국제 동향 연구: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의 측정지표 분석을 중심으로,”『시민사회와 NGO』제15권 1호, 2017, 손혁상·박종남.
“공여국의 개발도상국 시민사회(CSO)지원의 담론과 현황: OECD DAC회원국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제21권 1호, 2017, 손혁상·이화용·한재광.
“한국의 국제개발 연구 동향과 과제; 1956-2015 학술논문 분석,”『국제지역연구』제20권 4호, 2016. 주한나·손혁상·이희진.
“공적개발원조(ODA) 정책과정에서 의회 역할에 관한 비판적 검토: 캐나다와 미국 의회의 사례비교와 한국적 함의,”『한국정치연구』제25권 3호, 2016, 장혜영·손혁상.
“한국에서의 일본 ODA 연구동향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56권 3호, 2016, 손혁상·이진영.
“과학기술혁신과 국제개발협력: 독일의 기후변화관련 기술이전 협력체계분석을 중심으로,”『유럽연구』제34권 3호, 2016, 김주희·손혁상.
“국제개발협력에서 개도국 NGO의 역할과 한계: 방글라데시 BRAC에 대한 비판적 고찰,”『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2호, 2015, 손혁상·공석기.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한국의 민관협력사업(PPP) 연구: KOICA‘글로벌사회공헌프로그램’분석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제24권 제2호, 2014, 손혁상·박보기·김남경.
“국제개발 규범형성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Post 2015 프레임워크 사례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54권 1호, 2014, 손혁상·이진영·여원영.
“개발원조에서의 정부-NGO 파트너십 제도변화연구: 네덜란드 ‘공동재원조성(Co-financing)프로그램’사례분석을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제48권 1호, 2014, 손혁상·이일청·김태균·김지영.
“개발재원과 Post-2015 아젠다: 주 의제 상정을 위한 비판적 고찰,”『세계지역연구논총』제31권 2호, 2013, 손혁상·문경연.
“아세안(ASEAN) 확대와 개발격차(development gap): 회원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개발정책분석,”『국제지역연구』제17권 3호, 2013, 손혁상·이진영.
“‘ODA 추진체계 통합화 논쟁’에 대한 소고,”『국제개발협력』2013년 제2권, 2013, 손혁상.
“사회적 기업의 국제개발협력 참여 연구: 농업, 공정무역, 적정기술 사례분석,”『세계지역연구논총』제31권 1호, 2013, 손혁상·김남경.
“프레이밍이론으로 본 국제개발협력의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 담론 경합에 관한 연구,”『국제정치논총』제53권 1호, 2013, 손혁상.
“한국의 원조와 비원조 정책간의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국제정치논총』제52권 3호, 2013, 손혁상·박영선.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과 대개도국 무역정책: OECD DAC와 주요 선진공여국 사례를 중심으로,”『동서연구』제24권 3호, 2012, 손혁상·김소위·시진희·이윤미.
“국제규범 내재화와 정치환경: 스웨덴·독일의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PCD)'도입 사례를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제30권 1호, 2012, 손혁상·문경연.
“한국 개발NGO 역량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과 경험적 분석,”『국제개발협력연구』제4권 2호, 2012, 손혁상·신재은.
“기후변화 대응과 민관협력사업(PPP): 미국 USAID의 GDA를 중심으로,”『국제개발협력』2012년 제1호, 2012, 손혁상.
“국제개발협력에서 정부-시민사회 협력관계 연구: OECD DAC 회원국의 NGO지원정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국가전략』제17권 4호, 2011, 손혁상·한재광·박보기.
“새마을운동의 국제개발협력사업화 현황분석 및 대안적 접근 모색,”『세계 지역연구논총』제29권 3호, 2011, 손혁상·장지순.
“국제개발협력의 인권적 접근과 캐나다 ODA책무법,”『국제지역연구』제15권 2호, 2011, 손혁상.
“부산 개발원조총회(HLF4)와 세계시민사회의 대응전략: Better Aid와 Open Forum을 중심으로,”『국제개발협력』2011년 제3호, 2011, 손혁상.
“원조집행기관의 자율성과 제도적 변화: 영국 DFID사례를 중심으로,”『유럽연구』제28권 1호, 2010, 손혁상.
“일본과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원조전략 비교와 한국적 함의,”『오토피아』제25권 1호, 2010, 손혁상.
“시민사회와 대외원조(ODA): 일본의 개발NGO활동을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논총』제28권 1호, 2010, 손혁상·정복철.
“ODA기본법 관련 주요 쟁점과 입법방향 제언,”『국제개발연구』2009년 2호, 2009, 손혁상.
“한국의 대 아세안(ASEAN) 공적개발원조(ODA)정책: ‘경제협력’과‘개발협력’의 이중주,”『동남아시아연구』제18권 2호, 2008, 손혁상·최정호.
“세계시민사회와 지구적 윤리,”『한국정치연구』제17권 1호, 2008, 이동수·손혁상.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정치패러다임: 과학상점의 대안가능성 탐색,”『아태연구』제15권 2호, 2008, 정복철·손혁상.
“새천년개발 목표와 인권: 경쟁과 상호보완의 동학,”『인권평론』제2권, 2007, 손혁상.
“PAX UN과 지구공동사회,”『오토피아』제19권 2호, 2004, 손혁상.
“비대칭적 국가간 협상이론과 북미 핵협상: 북한의 협상행태 분석,”『협상연구』제1권 1호, 1995, 김용호·손혁
<영문>
“Make the village better: An evaluation of the Saemaul Zero Hunger Communities Project in Tanzania and Bangladesh,” World Development, Vol.124(December), 2019. With Youngwan Kim and Bokyeong Park. (SSCI)
“Advocacy for aid to North Korea by South Korean NGOs: Agenda framing and its impact in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Vol.20 No.2, 2019. With Kyung-Yon Moon and Hyun-Ah Park. (KCI)
“Aid Effectiveness and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Comparative Study of the Philippines and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Vol.36 No.2, 2018. With Ilcheong Yi and Jiyoung Kim. (KCI)
“A Critical Review of Alternative Pathways to New Social Policy in Development Context,” Korean Social Policy Review, Vol.25 No.2, 2018. With Ilchoung Yi, and Taekyoon Kim. (KCI)
“Synergistic Interactions between Social Policy and SSEs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actions in Discourse and Practice,” Development and Society, Vol.47 No.2, 2018. With Ilchoung Yi and Taekyoon Kim. (KCI)
“Do Different Implementing Partnerships Lead to Different Project Outcomes? Evidence from the World Bank Project-Level Evaluation Data,” World Development, Vol.95(July), 2017. With Wonkyu Shin and Youngwan Kim. (SSCI)
“At the Nexus of Advocacy and Accountability: New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Japanese Development NGOs,” Pacific Focus, Vol.32 No.1, 2017. With Bok Cheol Jeong and Taekyoon Kim. (SSCI)
“A Critical Analysis of Multilateral Aid of Middle Power States,”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51 No.3. 2017, With Joo Hee Kim. (KCI)
“The Evolution of Fragmented Systems of Welfare Provision: The National Health Care Systems of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Korea Observer, Vol.47 No.1, 2016. With Ilcheong Yi, Jiyoung Kim and Bok Cheol Jeong. (SSCI)
“Motivation for Aid Allocation and the Political Ideology: A Case Study of South Korea,” Pacific Focus, Vol.30 No.3, 2015. With Nari Yoo. (SSCI)
“Linking State Intervention and Health Equity Differently: The Universalization of Health Care in South Korea and Taiwan,” Korea Observer, Vol.46 No.3, 2015. With Ilcheong Yi and Taek Yoon Kim. (SSCI)
“Evaluation Framework of Development Partnership Reconsidered: A Case of Developmental Public Private Partnership (DPPP) of South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Vol.22 No.1, 2015. With Kyung Jae Kang. (KCI)
“What Matters in Determining Korean ODA Allocation: An Empirical Analysis on Bilateral Aid Since 1991,”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45 No.5, 2011. With Sungsik Ahn and Jiyoung Hong. (KCI)
“Government-NGO Partnership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 Case Study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2 No.2, 2011. With So Wi Kim. (KCI)
“On Divergent Tracks? The ODA Policies of Korea and Japan in Compariso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2 No.1, 2011. (KCI)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Dutch Aid Strategies Toward Indonesi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OUGHTOPIA, Vol.25 No.1, 2010. (KCI)
“The Challenges of Korean Development NGOs: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OUGHTOPIA, Vol.24 NO.1, 2009. With Young-Hak Yoo. (KCI)
“South Korea in 1994: A Year of Trial,” Asian Survey, Vol.35 No.1, 1995. With Chong-Sik Lee. (SSCI)
“South Korea in 1993: Year of Great Reform,” Asian Survey, Vol.34 No.1, 1995. With Chong-Sik Lee. (SSCI)
저서.역서
『변화의 시대, 한국의 유네스코 협력비전』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공저), 2018.
『북한개발협력의 이해: 이론과 실제』서울: 도서출판 오름 (공저), 2017.
『EU와 국제개발협력』서울: 박영사 (공저), 2017.
『개발도상국과 국제개발: 변화하는 세계와 새로운 발전론』서울: 푸른길 (공역), 2016.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한국개발NGO의 현황과 과제』서울: 집문당, 2015.
『한 잔의 커피, 한 잔의 평화: 동티모르 사회적기업 피스커피 이야기』서울: 경희대 출판문화원 (공저), 2015.
『국제개발협력 해설서』서울: 국제개발협력학회 (공저), 2014.
『시민사회 파트너십과 공공성』서울: 도서출판 인간사랑 (공저), 2014.
『21세기 글로벌 사회 공공성: 현장을 가다』서울: 도서출판 인간사랑 (공저), 2013.
『국제개발협력 첫걸음』한국국제협력단 ODA교육원(편) (공저), 2012.
『대 캄보디아 ODA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및 전략개발 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지역연구 총서시리즈 (공저), 2011.
『구성주의 이론과 국제관계 연구 전략』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역), 2011.
『Globalization and East Asian Community』서울: 한다출판사 (공저), 2010.
『우리사회의 경계: 어떻게 긋고 지울 것인가』서울: 아카넷 (공저), 2008.
학회활동
기타
?연구 과제
『굿네이버스 30년사 연구 : 국제 및 대북 사업 부문』굿네이버스 (연구책임), 2020.
『제 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수립 연구』국무조정실 (연구책임), 2020.
『한-아세안 협력기금 이행 프레임워크 2017-2020 갱신을 위한 전략 문서 개발』외교부 (연구책임), 2019.
『평화-지속가능발전 넥서스에 기반한 포괄적 개발파트너십: 이론적·경험적 분석 및 한국적 적용』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원(SSK)과제
대형단계 연구 (연구책임), 2018-22.
『미래대학 거버넌스 연구』경희대학교 (연구책임), 2017-18.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환경조성을 위한 정책일관성 연구』국무조정실 (연구책임), 2016.
『의회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의 관계: 디지털정당에 관한 연구』국회사무처 (연구책임), 2016.
『국제개발협력에서의 포괄적 개발파트너십 구축: 개발파트너십 유형화 및 이론화, 그리고 한국적 적용』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원(SSK)과제
중형단계 연구 (연구책임), 2015-18.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한국 의원외교의 연계방안』국회 사무처 (연구책임), 2015.
『Post-2015 시대 대외원조 효과성 제고를 위한 국회의 역할 연구』국회 입법조사처 정책연구용역 (연구책임), 2015.
『독일 국제협력공사(GIZ) 국제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 분석』녹색기술센터 (연구책임), 2015.
『개도국 현지CSO 역량강화 및 우호적 환경조성 기여를 위한 KOICA LCPP 이행전략과 프로그램 개발연구』한국국제협력단 (연구책임), 2014-15.
『외교부의 무상원조 정책 및 실행 선진화 방안 연구』외교부 (연구책임), 2014.
『국제개발 삼각협력의 사례분석과 한국의 대응전략』KDI (협동연구), 2014.
『주요국 다자원조 추진전략 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책임), 2013.
『민관협력사업 성과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한국국제협력단 (연구책임), 2013.
『Post-MDGs 체제 하의 개발재원 연구』외교부 (연구책임), 2013.
『동티모르 커피공정무역 자립화를 위한 빈곤퇴치모델연구: 사전현지조사』한국국제협력단(연구책임), 2012.
『한국형 ODA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통합체계 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동연구책임), 2012.
『분절적 참여에서 포괄적 파트너십으로: 한국 경험에 기반한 새로운 국제개발협력 파트너십 모델 개발』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원(SSK)과제
소형단계 연구 (연구책임), 2012-15.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한국의 개발NGO의 개발효과성 연구』아산사회 복지재단 중진학자 지원과제 (단독), 2012-14.
『이민정책과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PCD)': 개발친화적 이민정책의 모색』 IOM이민정책연구원. 외교통상부 지원과제 (공동연구), 2012.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지원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국제협력단 (연구책임), 2012.
『한국ODA의 정책일관성 제고방안 연구』한국국제협력단 (연구책임), 2012.
『시민사회협력 방안 연구』한국국제협력단 (연구책임), 2011.
『국제개발협력 민간단체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조사사업』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연구책임), 2011.
『대아세안국가 ODA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및 전략개발 연구: 캄보디아의 사례를 중심으로』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책임), 2010.
『The Evolution of Fragmented Systems of Welfare Provision』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 2009.
『Motivation for Aid Allocation and the Political Ideology』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 2008.
『한국과 일본의 ODA정책 비교연구』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 2007.
개발평가
『지역사회 모자보건 역량강화사업 종합평가』한국국제협력단 (평가책임), 2018.
『WFP-굿네이버스 협력사업 평가』굿네이버스/경희대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평가책임), 2017-18.
『물 분야 종합평가 및 베트남 부온호현 상수도시설 건설사업 사후평가』
한국국제협력단 (평가책임), 2016.
『농업사업 3건 사후평가』한국국제협력단 (평가책임), 2016.
『민관협력사업: 글로벌 CSR 프로그램 종합평가』한국국제협력단 (평가책임), 2014.
『한국국제협력단 NGO지원사업 종합평가』한국국제협력단 (평가책임), 2010.
국제개발협력 사업
<민관협력사업 보건 및 환경분야 성과관리>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9-22.
<인도적 지원 통합 교육과정> 한국국제협력단/국제개발협력학회 (사업책임), 2019.
<민관협력사업 교육 및 소액금융분야 성과관리>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7-20.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아카데미 파트너)> 한국국제협력단/국제개발협력학회 (사업책임), 2016-현재.
<인도네시아 민관협력사업 성과관리 협력사업> 아카데미 협력사업. 한국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5-17.
<베트남 광찌성 행복프로그램 ? 지방행정 역량강화>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4-18.
<동티모르 커피공정무역 자립화를 통한 빈곤퇴치 모델 구축: 생산자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청년참여 통합적 방식>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합 개발협력사업.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3-14.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국제개발협력의 이해> 교양과목 개설.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2-15.
<시민사회단체 사업 질적 제고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민관협력실.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2.
<팔레스타인 공공서비스 개혁> 팔레스타인 공무원 초청 연수프로그램.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책임), 2011.
수상내역
2019 KCOC <감사장> 수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창립20주년 기념 외부 공로자에게 수여
201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저서> 선정
『북한개발협력의 이해: 이론과 실제』, 2017, 도서출판오름, (공저, 책임저자)
2017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위원회 <학술상(논문)> 수상
“Do Different Implementing Partnerships Lead to Different Project Outcomes? Evidence from the World Bank Project-Level
Evaluation Data,” World Development, Vol.95 July, (교신저자)
2016-18 경희대학교 <연구우수교원> 선정
2016-17 경희대학교 <학술성취우수상> 수상
2012 외교통상부 장관 <표창장> 수여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의 성공적 개최 기여
2012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감사장> 수여
연구과제 수행의 수월성 및 국제개발협력 발전 기여